마가복음 5:35~43
35 아직 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회당장의 집에서 사람들이 와서 회당장에게 이르되 당신의 딸이 죽었나이다 어찌하여 선생을 더 괴롭게 하나이까
36 예수께서 그 하는 말을 곁에서 들으시고 회당장에게 이르시되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라 하시고
37 베드로와 야고보와 야고보의 형제 요한 외에 아무도 따라옴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38 회당장의 집에 함께 가사 떠드는 것과 사람들이 울며 심히 통곡함을 보시고
39 들어가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어찌하여 떠들며 우느냐 이 아이가 죽은 것이 아니라 잔다 하시니
40 그들이 비웃더라 예수께서 그들을 다 내보내신 후에 아이의 부모와 또 자기와 함께 한 자들을 데리시고 아이 있는 곳에 들어가사
41 그 아이의 손을 잡고 이르시되 달리다굼 하시니 번역하면 곧 내가 네게 말하노니 소녀야 일어나라 하심이라
42 소녀가 곧 일어나서 걸으니 나이가 열두 살이라 사람들이 곧 크게 놀라고 놀라거늘
43 예수께서 이 일을 아무도 알지 못하게 하라고 그들을 많이 경계하시고 이에 소녀에게 먹을 것을 주라 하시니라
오늘 본문은 어제 나눴던 <열두 해를 혈루증으로 앓아 온 한 여인>에 관한 말씀과 같은 시간대에 있었던 <야이로의 열두 살 된 딸 소생의 기적>입니다. 그러니깐 마가복음 5장 21절부터 43절까지 ‘죽어가던 야이로의 딸 소생 기적’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야이로와 예수님께서 딸을 고치러 그 집으로 가던 중에 25~34절까지 ‘열두 해를 혈루증으로 앓던 한 여인’에 관한 사건이 끼어 있는 것입니다.
공교롭게도 이 두 가지 사건 안에는 비슷한 상징들이 등장합니다. 첫 번째는 ‘(혈루증 여인의) 열두 해 = (야이로의 딸 나이) 열두 살’이란 것입니다. 성경에서 12라는 것 자체가 ‘완전수’라고 하는데, 완전수라는 것은 ‘꽉 찬’의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혈루증을 12년 동안 치료하지 못했다는 것과 12살 된 딸이 죽을 병을 앓다가 죽는 것은 두 번째 상징과 관계가 있는데, ‘불가능’이란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이 두 가지 사건을 통해 ‘예수님께는 능치 못할 일이 없다!’라는 하나의 커다란 주제를 말씀해 주시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동일하게 말씀하시고 있습니다. 다 끝난 것 같고, 더 이상 소망이 없는 것 같고, 내게 불가능해 보일만한 상황이 있다 할 지라도 절망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때문에 믿음의 예배자는 결코 절망하지 않는 것입니다.

첫째,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이 말은 미국 메이저리그 베이스볼(MLB)의 레전드 스포츠 스타가 남긴 말이지만, 정말 무엇이든 완전히 끝날 때까지 다 끝난 게 아닙니다. 아직 우리가 살아있다면 다시 도전할 기회가 있는 것입니다. 지금 눈에 보이는 상황은 실패와 절망적일 수 있지만, 이 상황에 놀라운 반전이 남아있을 수 있는 것입니다.
22절에 의하면 회당장 야이로가 예수님께 와서 도움을 요청할 때는 이미 그의 딸이 죽어가고 있는 급박한 상황이었습니다. 만약 조금이라도 늦으면 그의 사랑하는 딸은 죽을 수도 있어 촌각을 다투는 상황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열두 해를 혈루증으로 앓던 여인의 사건’이 중간에 끼어 들었고, 그 일로 인해 1분 1초가 아까운 때에 예수님께서 지체하시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35절 말씀을 보시면,
“아직 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회당장의 집에서 사람들이 와서 회당장에게 이르되 당신의 딸이 죽었나이다 어찌하여 선생을 더 괴롭게 하나이까”
열두 해를 혈루증으로 앓던 여인으로 인해 시간이 지체되자 회당장 야이로의 마음이 더 조급해지던 때에 그의 집에서 사람들이 와서 ‘당신의 딸이 죽었다. 그러니 예수 선생을 데려올 필요가 없다’라고 절망적인 말을 전한 것입니다.
그 말에 야이로의 마음은 무너져 내렸을 겁니다. ‘아… 이제 다 끝났구나. 내 딸을 살릴 방법이 없구나. 더 이상 소망이 없구나…’ 그런 절망적인 마음에 하늘마저 무너져 내렸을 것입니다. 우리에게도 이런 절망적인 상황이 오기도 합니다. 세상은 우리를 향해 ‘너는 다 끝났다’고, ‘너에겐 더 이상 소망이 없다’고, ‘너에겐 희망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런 말들과 그런 상황들 앞에서 우리 역시 절망적인 마음에 괴로워할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끝났다’라고 말씀 하시기 전까지 그 어느 것도 다 끝난 게 아닙니다. 우리의 눈에는 다 끝난 것처럼 보일지라도 하나님의 눈에는 아직 그 끝에 오지 않은 것입니다. 아직 하나님이 하실 일이 남아 있는 것입니다. 다니엘이 사자 굴에 던져졌을 때, 사람들은 다 끝났다고 했지만 하나님께서는 사자의 입을 막으셔서 다니엘을 다시 살리셨습니다. 다니엘의 친구들이 풀무불에 던져졌을 때, 세상 사람들은 다 끝났다고 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머리카락 하나도 상하지 않게 보호하시고, 살아 돌아온 그들을 그 나라에서 가장 높이셨던 것입니다. 여러분,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닙니다. 절대로 포기하지 마십시오.

둘째,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라.
믿음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다 끝났다’라고 할 만한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절망하지 않는 방법은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붙잡는 것입니다. 항상 기억하세요. 우리는 사람을 의지하거나, 환경을 의지하거나, 어떤 상황을 의지하는 존재가 아니라 살아 역사하시는 전능하신 하나님을 의지하며 살아가는 믿음의 사람들입니다. 사람이나 환경을 의지한다면 흔들릴 수도, 절망할 수도 있지만, 절대적으로 하나님을 의지하는 사람들은 결코 절망하지 않을 것입니다.
36절 말씀을 보시면,
“예수께서 그 하는 말을 곁에서 들으시고 회당장에게 이르시되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라 하시고”
야이로의 집에서 온 사람들이 야이로에게 전한 말을 예수님께서도 그 곁에서 들으셨습니다. 우리에게 두려운 마음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두려움을 이기는 것이 ‘믿음’인 것입니다. 내게 불가능한 문제, 내 힘으로 감당할 수 없는 문제, 희망이 보이지 않는 문제… 는 내게 두려움을 줄 것입니다. 하지만, 내가 믿는 전능하시고 살아계신 나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을 믿는 믿음은 모든 두려움을 떠나가게 하는 것입니다.
제가 필리핀 세부에 교회를 개척해서 지금까지 사역해 오면서 왜 어려움이 없었겠습니까? 어떤 순간들은 ‘나는 여기까지인가? 이젠 그만 모든 걸 다 포기하고 철수해야 하는가?’라는 생각도 여러 차례 저를 괴롭혔습니다. 마귀는 끊임없이 우리에게 낙심과 절망과 두려움의 씨앗을 심어 놓습니다. 그 씨가 자라 내 마음에 두려움과 정말이 가득하면 낙심하고 모든 걸 포기하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오늘 본문을 통해서 여전히 말씀하시고 있는 것처럼,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십시오.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내게 행하실 일이 아직 남아 있는 것입니다. 내가 아직 숨쉬고 있고, 이렇게 두 눈 뜨고 살아있다는 것은 아직 하나님의 계획도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합니다. 내가 육신의 눈을 감고 천국에 들어갈 때, 비로소 우린 이 땅에서의 삶도 끝나는 것입니다.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절망하지 않는 믿음의 예배자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 첫째,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 둘째,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라
기억해야 할 한 문장: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십시오.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내게 행하실 일이 아직 남아 있는 것입니다.
오늘의 묵상: 두려워할 만한 상황에서 내가 더 깊이 묵상해야 할 하나님은 어떤 분이십니까?
